[쉼표하나] 우리도 지켜야 할 조선학교, 우리학교_황의중
구름이 짙게 깔려 있었다. 보이질 않았고 있는지 조차 몰랐다. 조선학교는 60여 년 동안 계속 존재해 온 실체이다. 재일조선인들에게 가장 뚜렷한 업적이자 자랑이다. 과장하면 그들은 조선학교를 만들고 지키기 위해 살아왔다. 내 자식들만큼은, 우리 후손들만큼은 떳떳하게 가슴을 펴고 살아가라고. 이름과 말을 버리고, 민족을 부정하고 자신을 부정하라는, 비굴과 굴종과 동화를 요구하는 일본 땅에서, 먼저 우리말을 배우고, 민족문화를 몸에 익혀 조국과 민족을 가슴에 안고 ‘나’를 부정하지 말라고. 그리고 우리들(재일조선인)의 뿌리와 역사를 바로 알고, 나아가 조국의 통일을 염원하는 사람이 되라고. 그들은 혼신을 기울였다. “돈이 있는 사람은 돈을, 지식이 있는 사람은 지식은, 힘이 있는 사람은 힘을” 냈다. 전국에 그런 학교를 150여개(지금은 80개 정도)나 만들어 운영하였다. 유치원에서 대학까지. 그것도 60년간. 1세,2세,3세를 거쳐. 맨손에서 출발하여 교과서를 만들고, 교원을 양성하고, 커리큐럼을 만들었다. 60만의 재일조선인사회에 10만 명의 졸업생을 배출해 냈다. “조선학교가 없었다면 재일조선인은 지금 모두 부자가 되었을 겁니다.” 그들에게는 ‘우리학교’는 ‘생명선’이자 ‘금자탑’이다. 따라서 조선학교는 세상의 흔한 학교들 가운데 하나가 아니다. 혼과 생명이 들어 있는 학교이다. 조선학교는 늘 ‘역사’의 무게를 안고 있다. 일본 중심으로 전개된 근현대사의 모든 질곡들(식민지배, 조선멸시)이 학교를 누르고 있고, 그 위에 다시 조국분단의 질곡이 얹혀 있다. 그 무게를 온전히 안고 감당해 나왔기에 조선학교는 살아있다. 따라서 그 가치는 단순한 ‘학교’를 훨씬 뛰어 넘는다. ‘조선학교는 가치의 보고’이다. 재일조선인들 스스로 ‘기적’이라는 말을 아끼지 않는다. 그 동안의 지독한 무관심과 무지에서 벗어나 이제 한국사회가 조선학교와 접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특히 아직도 살아 계신 몇 안 되는 1세분들은 그저 손을 잡고 눈물을 흘린다. 참으로 먼 길을 돌아 왔다. 김명준 감독의 영화 <우리 학교>는 다큐멘타리 관객 동원기록(3만 9천, 비상)을 일찌감치 깨고 지금 10만을 향하고 있다. SBS 스페셜의 박기홍PD가 제작 방영한 에다가와 조선학교를 그린 2부작에 2천여 댓글이 폭주했고, 많은 이 땅의 아이들이 “어떻게 하면 조선학교 선생님이 될 수 있는가?”를 문의하고 있는 중이다. |
|
|
|
조선학교는 한국사회에 새로운 가치로 다가온다. 재일조선인들이 자신을 지키기 위해 만든 ‘우리학교’는 한국사회에 거울로 다가온다. 자신을 돌아보게 만든다. 그 어느 것보다 부드럽고 강력하게. 한국사회의 부끄러운 역사를, 방향을 잃은 현 한국의 교육과 한국사회를, 그리고 정체성을 잃은 나의 모습을. 그런데, 그 조선학교가 위기에 처해 있다. 이제 우리가 막 알기 시작했는데. 우리는 먼저 60년간의 조선학교를, 재일조선인들의 삶과 역사를 바르게 알아야 하는데, 이를 공부하기 전에 조선학교를 지키는 일에 나서야 될지 모른다. 정리하자. 조선학교를 지키는 일, 이는 결국 우리의 아이들인 동포 자녀들을 ‘한 인간’으로 지켜 주는 기본인권 수호운동이다. 또 이를 위해 모든 것을 헌신한 재일조선인들의 정의에 화답하는 일이다. 일본과의 역사나 민족문제를 떠나서도. 그리고 조선학교를 지키는 일은 이 답답한 한국사회를 시원하게 뚫고 넉넉하게 넓히는 일이기도 할 것이다. 또한 700만 재외동포문제에 진지하게 다가서는 관문이기도 하며, 통일로 나가는 걸음이기도 하다. 그러고도 조선학교를 지키는 일은 ‘조선학교가 살아 있는 일본’을 살리는 일이다. 어쩌면 일본을 구원할 수 있는 마지노선이기도 하다. <에다가와 조선학교> 모금운동은 그 일에 다가서는 우리사회의 첫걸음이자 첫 시도이다. 모두가 지켜보고 있는 듯하다. 강남의 아파트 한 채 값에도 못 미치는 14억원(에다가와 조선학교의 토지매입자금), 한국사회가 어떻게 대할지? |
|
|
|
※ 이 글은 아름다운재단에서 발행하는 월간『콩반쪽』7월호에 먼저 게재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_편집자 주 |
공감지기
- 이전글 : 현장을 찾아서_“공감”, 퀴어문화축제를 찾다!
- 다음글 : 서평『성노예와 병사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