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감

타이틀공지사항

“The Tragedy Caused by Loopholes in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 the Task Force on Workplace Death in Migrant Worker Dormitories

On December 20, 2020, a migrant worker was found dead in a greenhouse in Gyeonggi-do, Korea, after a cold wave warning was issued for the entire province, with temperatures reaching as low as minus 18 degrees Celsius.

The late Sok Heng, a Cambodian national who died that day, had been working on farms in Korea for four years after entering the country in 2016 under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EPS), and had even booked a plane ticket to return home. Her cause of death was ruptured esophageal varices, according to the autopsy.

Why did a healthy young woman who dreamed of the Korean Dream end up dying in a greenhouse in a foreign country at the age of 30? Migrant rights organizations have called her death a tragedy caused by a loophole in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There are 3 major loopholes in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that led the death of Sok Heng

1. Neglected health conditions

The first medical examination the deceased underwent upon arrival in Korea in 2016 revealed no issues. Even if her direct cause of death was cirrhosis of the liver, why was no action taken until it got so bad?

Under the current system, when an employer wants to invite a foreign worker through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in the manufacturing, construction, and service industries, it is required to register as a business, with mandatory workplace insurance. But in the case of the agricultural industry, this may be substituted with an agriculture enterprise registration which does not require workplace insurance.

The deceased, who was assigned to work in rural areas, worked on two farms from the time she arrived until her death. However, neither of these farms was registered as a business, so the deceased did not receive any health insurance benefits for three years (until July 2019, when foreign workers were required to enroll in local health insurance).

This raises the question of what would have happened if the deceased had worked in a workplace where workplace insurance was mandatory, so that she could receive regular medical checkups and appropriate treatment without the burden of high medical costs.

2. Poor working and living conditions

The dormitory provided by the employer and used by the deceased, and where the deceased died, was a greenhous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farm where the deceased worked.

The dormitory was completely unprotected from the cold, even when cold weather warnings were issued. According to the testimony of the deceased’s fellow migrant workers, the heating system in the dormitory did not work properly, even though it had been cold for more than a week before the deceased’s death, reaching temperatures below minus 10 degrees Celsius and as low as minus 18 degrees Celsius.

In response to calls for improvements to the poor living conditions of migrant workers, the Labor Standards Act was amended in 2019 to provide safe and comfortable housing for workers. However, temporary buildings such as green houses, sandwich panels, and containers are still provided as dormitories to migrant workers.

The existing system that allows companies to provide dormitories in such uninhabitable environments, and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s guidelines that allow companies to deduct dormitory fees from wages – all contributed to the death of the deceased.

3. Restrictions on Changing Workplaces

If the working conditions or dormitory environment at your assigned workplace are too poor to live a normal life, one should be able to move to a better place.

However, migrant workers who come to Korea under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such as the deceased Sok Heng, are not allowed to change workplaces without their employer’s approval (unless the workplace is closed or the violation of the Labor Standards Act reaches the level set by the Notice on Change of Workplace for Foreign Workers). If they change their workplace on their own, they may be reported by their employer and become ‘undocumented’. No matter how poor the living conditions are, no matter how horrible the working conditions are, they have no choice but to put up with them in order to continue working in Korea.

This brings us back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 deceased and her coworkers, who were forced to live in unheated greenhouse domitory in temperatures as low as minus 18 degrees Celsius, would have died alone in the cold if they had the freedom to change their place of business.

Immediately after the deceased’s death, the Task Force on Workplace Deaths in Migrant Worker Dormitories was established, and Attorney Jirim Kim from GongGam is working as a member of the Task Force. A human rights violation complaint was filed against the employer regarding the greenhouse accommodation, which may have violated the Agricultural Land Act, Building Code, and Labor Standards Act, and an application for urgent relief was filed with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requesting the separation of the employer from the fellow migrant workers who lived and worked with the deceased in the dormitory.

Every year, 55,000 migrant workers enter the Korea under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and more than 20,000 migrant workers are still living in greenhouses. If this is a “foreseeable tragedy,” it could have been prevented. GongGam will continue our work to ensure that no one has to die a tragic death again.

Update: In 2022, Sok Heng’s death was officially recognized as a result of an workplace death.
In addition, in September 2022, the South Korean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recommended that “the South Korean Minister of Employment and Labor take measures to support agricultural migrant worker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public dormitories, so that they can live in health and safety with human dignity.”

Written by Jirim Kim

 

“고용허가제의 허점이 빚어낸 비극” – 이주노동자 기숙사 산재사망 대책위원회 활동에 함께하며

최저 영하 18도에 이르는 강추위로 인해 경기도 일대에 한파주의보가 내려졌었던 지난 해 12월 20일, 한 이주노동자가 비닐하우스 숙소에서 사망한 채 발견되었습니다.

이날 사망한 캄보디아 국적의 故 속헹씨는 2016년 고용허가제로 입국하여 4년간 한국의 농장에서 일을 해왔고, 체류기한 만료를 앞두고 고향으로 돌아가기 위한 비행기 티켓까지 끊어놓은 상태였습니다. 부검결과 그녀의 사인은 ‘식도정맥류 파열’.

건강한 몸으로 코리안드림을 꿈꾸었던 청년이, 왜 4년 뒤 타국의 비닐하우스에서 서른의 나이로 비참한 죽음을 맞이하게 되었을까요. 이주인권단체들은 입을 모아 그의 죽음은 ‘고용허가제의 허점이 만들어낸 비극’이라고 꼬집습니다.

故 속헹을 사망에 이르게 한 고용허가제 허점 – 1. 방치된 건강 상태

2016년 고인이 입국하여 처음 받은 건강검진에서는 이상소견이 없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그의 직접적인 사인이 간경화라고 하더라도, 왜 그렇게 악화될 때까지 조치를 취하지 못 한 걸까요?

현행 제도상 고용주가 고용허가제를 통해 외국인노동자를 초청하고자 할때, 제조업이나 건설업, 서비스업은 직장보험가입이 의무화되는 사업자등록이 필수적이지만, 농축산업의 경우 농업경영체등록으로 사업자등록을 대신할 수 있습니다.

농촌에 배정되어 일했던 고인은 입국하여 사망할때까지 두 농장에서 일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이들 모두 사업자등록이 되지 않은 농장들이었기 때문에, 고인은 (외국인노동자의 지역건강보험 가입이 의무화되었던 2019년 7월 전까지) 3년간 건강보험의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한 상태였던 것입니다.

고인이 직장보험가입이 의무화된 사업장에서 일했다면,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고, 치료비 부담 없이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의문을 갖게 하는 대목입니다.

故 속헹을 사망에 이르게 한 고용허가제 허점 – 2. 열악한 노동, 숙식환경

고인이 사업주로부터 제공받아 사용해 온, 그리고 고인이 사망한 장소인 기숙사는 고인이 일하던 농장 한가운데 위치한 비닐하우스 간이 건물입니다.

이 비닐하우스 기숙사는 한파 주의보가 내려질 정도의 추위를 전혀 막을 수 없는 구조였습니다. 대책위가 확보한 고인의 동료 이주노동자의 증언에 따르면, 고인이 사망하기 전 영하 10도 이상, 최저 영하 18도에도 이르는 추위가 일주일가량 이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기숙사 내 난방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고도 합니다.

어떻게 이런 곳을 숙소로 제공하고, 기숙사비를 받고, 계속해서 이주노동자들을 고용할 수 있었을까요? 이주노동자의 열악한 주거환경에 대한 개선요구에 따라, 2019년 근로자의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 마련을 위한 근로기준법 개정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비닐하우스, 샌드위치 패널, 컨테이너 등의 가설건축물들은 최소한의 기준만 충족한 상태로 여전히 기숙사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도저히 사람이 살 수 없는 환경을 기숙사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존의 제도, 이런 기숙사를 제공하고도 기숙사비를 임금에서 제할 수 있게 한 고용노동부의 지침 – 모두 고인의 죽음에 대한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 하겠습니다.

故 속헹을 사망에 이르게 한 고용허가제 허점 – 3. 사업장변경 제한

본인이 배정된 사업장의 노동조건이나 기숙사환경이 너무 열악해서 도저히 정상적인 생활이 힘들다면, 좀 더 나은 곳으로 가면 되는 것 아닐까요?

하지만 사망한 속헹씨처럼 고용허가제로 한국에 온 이주노동자들은 (사업장의 휴폐업이나, 외국인근로자 사업장 변경에 관한 고시로 정한 수준에 이르는 근로기준법 위반 등의 경우가 아니라면) 고용주의 승인없이 사업장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이를 위반하게 되면 고용주의 신고로 미등록외국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아무리 열악한 주거환경이라도, 아무리 살인적인 근로조건이라 할지라도, 한국에서 계속 일을 하기위해서는 무조건 참고 일할 수 밖에 없는 것이지요.

영하 18도에 이르는 추위 속에서 난방장치조차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숙소에 살아야 했던 고인과 동료들에게 사업장변경의 자유가 있었다면, 과연 그가 싸늘한 숙소에서 홀로 숨을 거두는 일이 발생했을까 또 한 번 의문을 갖게 되는 지점입니다.

고인의 사망 직후 ‘이주노동자 기숙사 산재사망대책위원회’가 만들어 졌고, 공감도 대책위원회의 대리인단으로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농지법, 건축법, 근로기준법 위반 소지가 있는 비닐하우스 숙소와 관련하여 고용주에 대하여 고발장을 제출하였고, 국가 인권위원회에 해당 기숙사에서 고인과 함께 숙식하며 일했던 동료이주노동자들을 고용주로부터 분리할 것을 요청하는 긴급구제신청도 제기하였습니다.

고용허가제로 매년 5만 5천명의 이주노동자가 입국합니다. 그리고 현재 2만 여명의 이주노동자가 아직도 비닐하우스에 살고 있습니다. ‘예견된 비극’이라면 그 비극을 막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다시는 누구도 안타까운 죽음을 맞이하지 않도록, 활동을 이어가겠습니다.